작업중입니다 …
기존의 요청 처리는 하나의 요청에 대해 한 개의 쓰레드를 사용하였다. 하나의 쓰레드에서 요청-응답 과정을 모두 처리하기 때문에 요청처리 이후 응답이 오기까지 쓰레드를 대기상태로 유지하였다. 그러나 서버와의 연결을 유지한채 대기상태로 있는 것이 아니라 서버와의 처리를 계속 이어가게 해주기 위해서는 이러한 기존의 처리에 한계가 있었다.
Servlet 3.0에서 제공하는 비동기 요청 처리는 쓰레드가 대기상태로 있는 것이 아니라 요청을 처리하는 Servlet 쓰레드가 요청후 바로 반환되고 내부의 다른 쓰레드가 이를 처리했다가 처리완료 후 응답처리 리소스가 가용할 때 Servlet쓰레드가 응답처리를 계속 이어가게 해 주는 것이다.
비동기 요청처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환경이 필요하다.
<!-- Servlet --> <dependency> <groupId>javax.servlet</groupId> <artifactId>javax.servlet-api</artifactId> <version>3.0.1</version> <scope>provided</scope> </dependency>
web.xml의 servlet버전을 변경해야한다.
<web-app xmlns="http://java.sun.com/xml/ns/javaee"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java.sun.com/xml/ns/javaee http://java.sun.com/xml/ns/javaee/web-app_3_0.xsd" version="3.0"> ... </web-app>
web.xml내의 servlet설정에 async-supported태그값을 true로 설정한다.
<servlet> <servlet-name>appServlet</servlet-name> <servlet-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DispatcherServlet</servlet-class> <init-param> <param-name>contextConfigLocation</param-name> <param-value>/WEB-INF/spring/appServlet/servlet-context.xml</param-value> </init-param> <load-on-startup>1</load-on-startup> <async-supported>true</async-supported> </servlet>
Spring의 비동기 요청처리에서는 Servlet쓰레드는 요청을 처리하고 Spring의 Async 제공 클래스를 통해 비동기모드로 전환되며 Servlet쓰레드는 반환된다. 그 후 내부 Application의 쓰레드에서 서비스 처리가 일어나게 된다. 처리완료 후 Servlet쓰레드가 다시 응답을 받아 이를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Spring의 비동기 요청처리에서 제공하는 Class는 Servlet쓰레드가 반환된 이후 내부 서비스를 처리하는 쓰레드의 종류에 따라 나뉜다.
요청을 처리하는 Servlet쓰레드가 반환되면 Spring MVC에서 제어하는 쓰레드에 의해 비동기처리된다.
Callable의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Callable은 주로 요청처리가 오래걸리는 DB작업, REST API요청처리를 하는 데 적합하다.
@RequestMapping(“/view”) public Callable<String> callableWithView(final Model model) { return new Callable<String>() { @Override public String call() throws Exception { Thread.sleep(2000); model.addAttribute(“foo”, “bar”); model.addAttribute(“fruit”, “apple”); return “view”; } }
Servlet 스레드는 반환하고 Spring MVC가 제어하지 않는 쓰레드를 통해 비동기를 처리한다. DefferedResult는 JMS, AMQP, 스케쥴러, Redis, 다른 HTTP요청에서 사용된다.
DefferedResult의 처리과정은 다음과 같다.
@RequestMapping("/quotes") @ResponseBody public DeferredResult<String> quotes() { DeferredResult<String> deferredResult = new DeferredResult<String>(); // Save the deferredResult in in-memory queue ... queue.add(defferedResult); return deferredResult; } // In some other thread... @RequestMapping("/someEvent") @ResponseBody public String someEvent(String data) { for(DefferedResult<String> result : queue) { result.setResult(data); } return "view"; }
Callable과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하며 Controller에서 Callable을 담아서 반환한다.
Timeout을 추가할 수 있으며 AsyncTaskExecutor를 지정하거나 작업의 종류에 따라 쓰레드 풀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RequestMapping("/facebooklink") public WebAsyncTask<String> facebooklink() { return new WebAsyncTask<String>( 30000L, // Timeout "facebookTaskExecutor", // TaskExecutor new Callable<String>() { @Override public String call() throws Exception { // 작업 return result; } } ); }